통합검색결과

회원사 상품

긴급삽니다 구매중·비철 / 기타(직접입력)
2025-03-14 ~ 2025-06-12 0 19
중량 : 200,000 kg두께,직경,높이 : 0.4,0.5,0.6,0.7,1.0,1.2 폭 : 1,000 mm길이 : 1,000 m
상호협의
긴급팝니다 판매중·강관 / STS
2025-03-10 ~ 2025-07-23 0 37
중량 : 211 kg두께 : 4.5 mm호칭경 : 300 A외경 : 318.5 mm길이 : 6 m
상호협의
긴급팝니다 판매중·강관 / STS
2025-03-10 ~ 2025-07-23 0 26
중량 : 157 kg두께 : 4 mm호칭경 : 250 A외경 : 267.4 mm길이 : 6 m
상호협의
긴급팝니다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냉연강판(CR)
2025-02-03 ~ 2025-06-03 0 70
중량 : 1,572 kg두께 : 0.8 mm폭 : 563 mm길이 : C(코일)
2,700원/KG당
긴급팝니다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냉연강판(CR)
2025-02-03 ~ 2025-05-04 0 67
중량 : 9,700 kg두께 : 1.2 mm폭 : 180 mm길이 : C(코일)
2,700원/KG당

연계사 소재

이스틸포유이스틸포유 소재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스테인레스강판
0 1
중량 : 695 kg두께 : 2.942 mm폭 : 1,235 mm길이 : C(코일)
상호협의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스테인레스강판
0 1
중량 : 1,145 kg두께 : 0.774 mm폭 : 923 mm길이 : C(코일)
상호협의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스테인레스강판
0 0
중량 : 1,837 kg두께 : 1.15 mm폭 : 1,256 mm길이 : C(코일)
상호협의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스테인레스강판
0 0
중량 : 3,098 kg두께 : 0.944 mm폭 : 1,253 mm길이 : C(코일)
상호협의
판매중·판재(탄소강|STS) / 스테인레스강판
0 0
중량 : 1,266 kg두께 : 1.14 mm폭 : 1,242.5 mm길이 : C(코일)
상호협의

HCORE STOREHCORE STORE 소재

판매중·강관 / TIG
0 48
중량 : 1,030 kg외경 : 100 SU두께 : 2 mm길이 : 6 m
상호협의
판매중·강관 / TIG
0 42
중량 : 549 kg외경 : 13 SU두께 : 0.8 mm길이 : 6 m
상호협의
판매중·강관 / TIG
0 56
중량 : 1,010 kg외경 : 20 SU두께 : 1 mm길이 : 6 m
상호협의
판매중·강관 / TIG
0 49
중량 : 991 kg외경 : 25 SU두께 : 1 mm길이 : 6 m
상호협의
판매중·강관 / TIG
0 51
중량 : 419 kg외경 : 30 SU두께 : 1.2 mm길이 : 6 m
상호협의

게시판별

커뮤니티

[철강시황]3월 둘째주
[냉연 / 도금] 3월 제조사 가격 인상에도 시장은 여전히 냉각 상태. 현대제철 파업 영향으로 시장 내 공급 부족 현상 우려되었지만, 기존 확보 재고로 인해 단기적인 수급 문제는 발생하지 않은 상황. 다만, 파업이 4월까지 지속된다면 공급 차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워. 일부 제품군에서는 재고 소진으로 인한 소폭 반등 조짐이 있지만, 시장은 제조사들의 가격 인상 시도가 체감되지 않고 있어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지속될 전망. 미국 수출시장은 프리미엄급 컬러강판 수요가 일부 유지될 것으로 예상. [열연 / 후판] 3월 후판 관세 이슈로 시장은 기대감 상승, 열연은 정체 국면. 중국산 후판에 대한 잠정 덤핑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며 국내 유통가 상승 압력 받고 있지만, 시장이 신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실제 반영 여부는 여전히 관망세. 제조사 설비 보수와 수입재 공급 제한이 맞물려 가격 상승 여지는 존재. 열연은 중국 내수가 약세가 이어지며 국내 시장에 저가 수입재 유입이 지속돼 가격 상승에 난항. 제조사들은 가격 인상 기조 유지하지만, 실질적 유통가격 반영에는 난항을 겪고 있는 모습. [스테인리스] 3월 가격 인상과 시장 수요 위축 사이에서 갈등. 포스코는 원가 상승과 환율 부담을 이유로 3월 가격 인상을 단행했으나, 실제 반영은 미진. 중국과 인도네시아가 수입재 오퍼 가격을 높이고 있어 가격 인상 압력 커졌지만, 국내 유통업체들은 수요 위축 우려로 가격 반영에 신중한 입장. 건설사들의 연이은 부도와 기업회생 신청이 STS 시장의 불안감을 커지고 있으며, 전방 산업 부진과 환율 변동성으로 단기간 내 뚜렷한 시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스크랩] 3월 큰 변동 없는 안정세 속에 제강사 관망 지속. 철스크랩 시장은 제강사들이 철근 시장 부진으로 인해 매입을 최소화하며 관망세를 유지 중. 최근 국내 스크랩 수입은 일본산 중심으로 증가하며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 발생량이 감소해 가격의 급락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향후 스크랩 시장 회복 여부는 전방 산업의 수요 개선이 선행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 본 글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작성자의 허락 없이 복제하거나 다른 사이트에 게시하는 것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철강시황]10월 둘째주
[냉 연] 10월 지속되는 구매 관망세. 10월 징검다리 연휴로 냉연도금재 시장 거래량 감소, 판매 부진 지속. 9월 말부터 가격 하락 전망이 지배적이었으며, 예상대로 가격 하락세 이어져.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냉연판재류 유통시장은 여전히 판매 부진 상태. 시장은 추가 물량 구매 대신 재고 조정에 집중. 중국 철강 내수 가격 상승 시 추가 오퍼가격 인상 가능성 존재. [열 연] 10월 中수출 오퍼가 인상, 시장 분위기 반전 기대. 중국의 대규모 통화정책과 경기 부양책으로 열연 및 후판 가격 상승 분위기 형성, 판매는 지난달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 시중 유통가격은 지난주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현재 가격을 저점으로 인식. 메이커들은 가격 인상 신중히 검토 중이며 10월 중순 이후 소폭 인상 가능성 높아 보여. 중국의 국경절 이후의 분위기가 가격 상승의 중요한 분수령 될 것. [스테인리스] 10월 징검다리 연휴 이후 반등 기대감 고조. 이월된 물량 영향으로 가격 약세 이어졌지만, 9월 말 이후 일부 방어 움직임이 나타나. 미국의 금리 인하와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 속 니켈 가격 1만 8천 달러 초반대 진입 앞둬. 니켈 가격 상승세 보이며 글로벌STS 가격 다시 반등할 것이라는 예측 나와. 국내 시장에서는 중대형 유통업체들이 가격 방어에 나서며, 거래 가격은 점차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보여. [스크랩] 10월 남부에서 시작된 가격 인하, 전국으로 확산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중부권 제강사들도 가격 인하 발표, 전국적으로 유통 가격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보여. 재고 증가세 확인되며, 특히 중부권에서의 재고 증가 뚜렷해. 이번 가격 인하는 제강사들의 수익성 감소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생산 원가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조치. 본 글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작성자의 허락 없이 복제하거나 다른 사이트에 게시하는 것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생산, 8개 분기 만에 회복세
올해 1분기 스테인리스 열연강판(STS HR)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30% 가까이 증가하며 8개 분기 만에 50만 톤대를 회복했습니다. 한국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1분기 STS HR 생산량은 50만 톤을 넘어섰으며, 이는 직전 분기 대비 26%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회복세는 글로벌 STS 가격 인상과 포스코의 가격 인상 전략 및 감산 전략 종료와 수출 증가 등의 사유가 생산 회복을 이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튀르키예향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 급증하며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고, 일본으로의 수출 또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다만, 최근 중국과 대만, 인도네시아산 STS 코일&강판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STS 시장에 미칠 영향에 주목해야 할것으로 보인다.

철강지식IN

답변 : STS가 무엇인가요?
2024-03-19
STS가 무엇인가요?
2024-03-18
[철강 기초상식] 철강의 이해
2021-12-21